2025.10.12 (일)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N번방 그리고 언론의 역할

 

[캠퍼스엔 = 김송현 기자] 지난달 9일 텔레그램 N번방 사건으로 나라가 들썩였다. 얼마 지나지 않아 각 언론사는 앞다퉈 N번방 중 박사방의 운영자인 조주빈이 검거됐다는 뉴스를 내보냈다. 한동안 사람들의 화두는 모두 N번방의 실체였다.

 

국민들의 분노는 청와대 국민청원에서 실감할 수 있었다. N번방 용의자의 신상공개를 요구하는 청원은 지난 3일을 기준으로 200만 명을 돌파했다. 미성년자를 포함해 수많은 피해자를 만든 가해자의 신변을 보호해선 안 된다는 사람들의 목소리가 모인 것이다.


사실 N번방의 성착취는 지난해 2월부터 시작됐다. 지난해 7월 뉴스통신진흥회가 주최한 ‘탐사·심층·르포 취재물’ 공모전에서 ‘추적단 불꽃’이란 이름으로 참가한 대학생들이 N번방의 성 착취 사실을 처음으로 보도했다. 이후 11월 한겨레에서 단독 보도한 내용이 SNS상에서 큰 화제가 됐다. 하지만 한겨레의 보도가 있기 전까지 다른 언론사들은 텔레그램 성착취 사건에 침묵했다.


미디어 이론 중 ‘아젠다 세팅(Agenda Setting)’이 있다. 언론이 중요하게 다루는 이슈는 국민들도 중요하게 인식하고 언론이 중요하게 다루지 않으면 중요한 이슈임에도 중요하게 인식하지 않는다는 이론이다. 뉴스통신진흥회는 지난해 4월 공고에서 “수상작은 뉴스통신진흥회 홈페이지, 연합뉴스 등 매체를 통해 공개될 예정”이라고 밝혔지만 수상작이었던 N번방 보도의 공개는 이뤄지지 않았다.

 

결국 N번방 취재 기사는 한겨레의 기획면에 보도됐다. 그 와중에 다른 언론사들은 아무도 N번방을 보도하지 않았다. N번방 중 ‘박사방’의 피해자는 그 사이 더 증가했기 때문에 언론사들의 후속 보도가 잇따랐다면 최소한 ‘박사방’의 피해는 막을 수 있었을 것이다. 언론은 이 사건을 조용히 넘겨선 안 되며 무책임한 보도 행태를 반성하는 태도를 갖춰야 한다. 그동안 언론이 조명하지 않아 이렇게 수면 아래 가려진 사건들이 얼마나 많았을까.

 

“내가 N번방에 있었는데, 아무런 처벌도 받지 않았어” 이것이 바로 N번방에 있던 26만 명의 가입자들을 처벌해야 할 이유다. 가면을 쓴 가입자들이 여전히 사회에서 살아간다면 앞으로는 N번방보다 더 극악무도한 사건이 터져 나올 수 있다.

 

N번방 ‘사건’에는 이미 스포트라이트가 쏟아졌다. 하지만 약 한 달이 지난 지금 N번방의 처벌, 그리고 예방책의 취재 열기는 ‘사건’을 보도했던 당시와 같지 않다. 언론은 이제라도 아젠다 세팅의 책임감을 가지고 미래의 또 다른 피해자를 막을 의무가 있다.

프로필 사진
김송현 기자

성신여자대학교 김송현기자입니다. 열정가득 좋은 기사로 찾아뵙겠습니다.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배너
배너

한컴아카데미, 대학생 서포터즈 1기 발대식 개최
한컴아카데미가 지난 9월 26일 경기도 성남시 한컴타워에서 서포터즈 1기 발대식을 개최했다. 한컴아카데미는 한컴그룹의 교육 전문 계열사이다. 이번 서포터즈는 수도권 소재 대학생 24명으로 구성됐으며, 앞으로 3개월 간의 활동 기간 동안 한컴아카데미의 다양한 교육 서비스를 알리는 콘텐츠를 직접 기획하고 제작하게 된다. 이번 서포터즈 활동은 한컴아카데미가 보유한 두 가지 핵심 교육 사업의 가치를 융합하고 시너지를 창출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밝혔다. 한컴아카데미의 두 가지 핵심 교육 사업 중 첫 번째는 재직자 대상 인공지능(AI), 임베디드 등의 전문가 과정을 제공하는 오프라인 교육이다. 두 번재는 대학생과 취업준비생을 위해 폭넓은 IT 실무 역량을 제공하는 온라인 학습관리시스템(LMS) 서비스이다. LMS는 온라인에서 강의 수강부터 과제 제출, 학습 관리까지 모든 교육 활동이 이뤄지는 ‘온라인 강의실’과 같은 플랫폼이다. 서포터즈 1기는 주로 온라인 LMS 서비스를 직접 체험하며, 실제 사용자의 눈높이에서 강의 후기, 학습 팁, 관련 산업 트렌드 등 다양한 SNS 콘텐츠를 제작하는 역할을 맡는다. 이를 통해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와의 접점을 확대하고, 잠재적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