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30 (토)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N번방 그리고 언론의 역할

 

[캠퍼스엔 = 김송현 기자] 지난달 9일 텔레그램 N번방 사건으로 나라가 들썩였다. 얼마 지나지 않아 각 언론사는 앞다퉈 N번방 중 박사방의 운영자인 조주빈이 검거됐다는 뉴스를 내보냈다. 한동안 사람들의 화두는 모두 N번방의 실체였다.

 

국민들의 분노는 청와대 국민청원에서 실감할 수 있었다. N번방 용의자의 신상공개를 요구하는 청원은 지난 3일을 기준으로 200만 명을 돌파했다. 미성년자를 포함해 수많은 피해자를 만든 가해자의 신변을 보호해선 안 된다는 사람들의 목소리가 모인 것이다.


사실 N번방의 성착취는 지난해 2월부터 시작됐다. 지난해 7월 뉴스통신진흥회가 주최한 ‘탐사·심층·르포 취재물’ 공모전에서 ‘추적단 불꽃’이란 이름으로 참가한 대학생들이 N번방의 성 착취 사실을 처음으로 보도했다. 이후 11월 한겨레에서 단독 보도한 내용이 SNS상에서 큰 화제가 됐다. 하지만 한겨레의 보도가 있기 전까지 다른 언론사들은 텔레그램 성착취 사건에 침묵했다.


미디어 이론 중 ‘아젠다 세팅(Agenda Setting)’이 있다. 언론이 중요하게 다루는 이슈는 국민들도 중요하게 인식하고 언론이 중요하게 다루지 않으면 중요한 이슈임에도 중요하게 인식하지 않는다는 이론이다. 뉴스통신진흥회는 지난해 4월 공고에서 “수상작은 뉴스통신진흥회 홈페이지, 연합뉴스 등 매체를 통해 공개될 예정”이라고 밝혔지만 수상작이었던 N번방 보도의 공개는 이뤄지지 않았다.

 

결국 N번방 취재 기사는 한겨레의 기획면에 보도됐다. 그 와중에 다른 언론사들은 아무도 N번방을 보도하지 않았다. N번방 중 ‘박사방’의 피해자는 그 사이 더 증가했기 때문에 언론사들의 후속 보도가 잇따랐다면 최소한 ‘박사방’의 피해는 막을 수 있었을 것이다. 언론은 이 사건을 조용히 넘겨선 안 되며 무책임한 보도 행태를 반성하는 태도를 갖춰야 한다. 그동안 언론이 조명하지 않아 이렇게 수면 아래 가려진 사건들이 얼마나 많았을까.

 

“내가 N번방에 있었는데, 아무런 처벌도 받지 않았어” 이것이 바로 N번방에 있던 26만 명의 가입자들을 처벌해야 할 이유다. 가면을 쓴 가입자들이 여전히 사회에서 살아간다면 앞으로는 N번방보다 더 극악무도한 사건이 터져 나올 수 있다.

 

N번방 ‘사건’에는 이미 스포트라이트가 쏟아졌다. 하지만 약 한 달이 지난 지금 N번방의 처벌, 그리고 예방책의 취재 열기는 ‘사건’을 보도했던 당시와 같지 않다. 언론은 이제라도 아젠다 세팅의 책임감을 가지고 미래의 또 다른 피해자를 막을 의무가 있다.

프로필 사진
김송현 기자

성신여자대학교 김송현기자입니다. 열정가득 좋은 기사로 찾아뵙겠습니다.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배너

대전광역시, 제17회 공공디자인 공모전 시상식 개최
대전시가 19일 시청 2층 로비에서 ‘제17회 대전광역시 공공디자인 공모전’ 시상식을 개최했다. 올해 공모전은 ‘한 걸음에 만나는 대전 속 힐링디자인’을 주제로 진행됐다. 대학생과 일반인 206팀이 참여해 총 206점의 작품이 출품됐다. 이 중 창의성과 활용성, 완성도를 종합 평가한 결과 60개 작품이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대상(大賞)은 시설물 디자인 부문에서 청주대학교 임종건 씨가 출품한 ‘한밭수목원 자전거수리대 고치슈’가 선정됐다. 금상은 ▲서울대학교 김시찬·큐슈대학교 허태원 씨의 ‘마당 너머, 소제의 숨결’▲건국대학교 글로컬캠퍼스 류가현·이세린 씨의 ‘대전광역시 산책 어플리케이션 걷슈’가 차지했다. 심사는 건축·디자인·도시계획 등 관련 분야 전문가 8명이 참여했으며 작품의 창의성과 활용성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했다. 이장우 시장은 “이번 수상작들이 대전을 ‘디자인으로 힐링되는 도시’, ‘품격 있는 명품 도시’로 이끄는 밑거름이 될 것”이라며 “공모전이 참가자들에게는 창작의 성장 발판이 되고 시민들께는‘디자인이 주는 감동’을 전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전했다. 한편, 수상작은 19일부터 27일까지 9일간 대전시청 2층 로비에서 전시되며 대전광역시 공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