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8 (목)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확진자의 동선공개, 방역과 함께 갈 수 있을까?

용인 확진자 동선공개, 성소수자 혐오 부추긴 언론

지난 7일, 실시간 인기 검색어에 성 소수자와 관련한 단어들이 올라왔다. 코로나19 66번째 확진자의 동선을 알린 기사에 언급됐기 때문이다.

 

용인66번째 확진자의 코로나19 감염 사실은 지난 6일 확인됐다. 그의 감염 사실이 알려진 후, 7일 서울 용산구의 한 클럽은 “코로나19에 감염된 확진자가 지난 2일 클럽에 다녀갔다”는 글을 페이스북에 올렸다. 현재 해당 글은 내려진 상태다. 하지만 이후 일부 언론에서 해당 클럽을 ‘게이클럽’이라고 지칭하는 기사를 썼고, 온라인에는 그의 성 정체성을 추측하고 비방하는 글들이 올라왔다. 언론사는 기사 업로드 7시간 만에 게이클럽이라는 표현을 유명 클럽이라고 수정했지만, 그 사이 코로나19 방역에 필요한 기사 정보를 넘어서 게이클럽 같은 성적 지향을 부각한 기사들이 71건이나 나왔다.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는 “해당 기사에는 확진자의 나이와 지역, 동선 뿐만 아니라 직장의 위치와 직종이 공개됐다. 방역정보와 아무 상관이 없는데도 확진자가 지나간 장소를 게이클럽으로 굳이 명명하면서 상호까지 공개했다”며 “지자체가 공개하지 않은 정보를 굳이 단독취재인 양 보도하면서 확진자의 동선을 전시하고 아웃팅한 언론의 보도는 심각한 인권침해와 혐오선동의 극단을 보여주고 있다”고 말했다.

 

사실 현재 상황에서 확진자의 동선 공개 자체는 문제가 되지 않는다. 감염병 예방법에도 필요한 경우에는 최소 한도 내에서 개인정보를 공개할 수 있게 돼 있다. 확진자와 같은 시간, 같은 장소에 있던 사람이 누구였는지 잘 파악이 안됐을 때는 상호명까지 밝히기도 한다.

 

그러나 그 업소가 어떤 성적 지향의 사람들이 주로 찾는 곳인지까지는 전혀 필요한 정보가 아니다. 그냥 ‘이태원의 한 클럽’이라고 쓰면 되었을 것을 굳이 ‘게이클럽’이라고 밝힐 필요는 전혀 없었다.

 

심지어 문제는 이런 기사가 방역에는 전혀 도움이 안 된다는 것이다. 방역에 초점을 두어야하는 시점에 엉뚱하게 그의 성 정체성과 관련한 논란이 더 커지고 있다. 게다가 언론의 지나친 보도 때문에 원치 않게 강제로 성적지향이 공개되어 한 순간에 비판의 대상자가 된 사람들은 방역에 협조하고 나서기가 더 어려워질 수밖에 없다. 이는 결국 그들의 불안과 공포를 조성해서 방역망 밖으로 숨어들게 할 뿐이다.

 

확진자들에게는 동선공개와 보도만으로도 충분히 차별과 낙인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개인을 특정할 수 있는 정보는 제외하고 오직 ‘방역’만을 위한 공개가 이뤄져야 한다. 언론인들 역시 신중한 보도와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이번 기사를 통해 나 또한 기사를 쓰는 입장으로써, 기사에 쓰이는 표현 하나하나의 무게를 절감할 수 있었다.

프로필 사진
김지연 기자

언제나 사실만을 전달하는 기자가 되겠습니다.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배너

대전광역시, 제17회 공공디자인 공모전 시상식 개최
대전시가 19일 시청 2층 로비에서 ‘제17회 대전광역시 공공디자인 공모전’ 시상식을 개최했다. 올해 공모전은 ‘한 걸음에 만나는 대전 속 힐링디자인’을 주제로 진행됐다. 대학생과 일반인 206팀이 참여해 총 206점의 작품이 출품됐다. 이 중 창의성과 활용성, 완성도를 종합 평가한 결과 60개 작품이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대상(大賞)은 시설물 디자인 부문에서 청주대학교 임종건 씨가 출품한 ‘한밭수목원 자전거수리대 고치슈’가 선정됐다. 금상은 ▲서울대학교 김시찬·큐슈대학교 허태원 씨의 ‘마당 너머, 소제의 숨결’▲건국대학교 글로컬캠퍼스 류가현·이세린 씨의 ‘대전광역시 산책 어플리케이션 걷슈’가 차지했다. 심사는 건축·디자인·도시계획 등 관련 분야 전문가 8명이 참여했으며 작품의 창의성과 활용성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했다. 이장우 시장은 “이번 수상작들이 대전을 ‘디자인으로 힐링되는 도시’, ‘품격 있는 명품 도시’로 이끄는 밑거름이 될 것”이라며 “공모전이 참가자들에게는 창작의 성장 발판이 되고 시민들께는‘디자인이 주는 감동’을 전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전했다. 한편, 수상작은 19일부터 27일까지 9일간 대전시청 2층 로비에서 전시되며 대전광역시 공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