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30 (토)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기생충의 놀라운 ‘기세’

각종 ‘최초’의 수식어와 함께하는 한국영화 101주년

 

[캠퍼스엔/구민정 기자] 지난해 칸 국제영화제에서 한국영화 최초 황금종려상 수상을 시작으로, 5일에 열린 제77회 골든글로브 시상식에서 역시나 한국영화 최초로 외국어 영화상을 수상하며 봉준호 감독의 <기생충>은 나날이 한국영화의 새로운 역사를 쓰고 있다.

 

<기생충>의 이러한 기세는 놀랍게도 현재 진행형이다. 한국 시간으로 13일 밤 미국영화예술과학아카데미(AMPAS)가 공개한 제92회 미국 아카데미(오스카) 시상식 최종 후보에도 역시나 <기생충>이 이름을 올렸다. 당초 예견되었던 국제 장편 영화상뿐만 아니라 작품상, 감독상, 각본상, 미술상, 편집상을 포함하여 최종 6개 부문 후보에 노미네이트 된 것은 상당히 놀라운 결과다.

 

1인치 언어의 장벽 깰 수 있을까

 

한국영화가 아카데미 최종 후보에 이름을 올린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1962년 신상옥 감독의 <사랑방 손님과 어머니>를 시작으로 아카데미 국제영화상에 꾸준히 작품을 출품해왔으나 최종 후보에는 한 차례도 오르지 못했다.

 

국제 장편 영화상 수상이 유력한 <기생충>이 만약 작품상까지 거머쥔다면 한국영화사뿐 아니라 오스카 역시 새로운 역사를 쓰게 된다. 그동안 외국어 영화, 즉 비(非)영어 권 영화가 아카데미 작품상을 수상한 사례가 단 한 번도 없었기 때문이다. 할리우드는 오늘날 세계 영화시장의 패권을 장악하고 있다는 자긍심을 앞세워 비영어권 영화에 대해 배타적인 태도를 보여 왔다.

 

앞서 봉준호 감독은 제77회 골든글로브 시상식에서 “1인치도 안 되는 자막의 장벽을 뛰어넘으면 여러분은 더 많은 영화를 느낄 수 있습니다. 우린 ‘시네마’라는 하나의 언어만 사용하니까요.” 라는 수상소감을 밝힌 바 있다. 다음 달 9일(현지시각)에 열리는 제92회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비영어권 영화에 배타적인 할리우드가 어떤 영화에 작품상을 수여할지 귀추가 주목된다.

 

지난 한 해 동안 <기생충>을 비롯하여 영화제 45관왕에 빛나는 <벌새> 등 한국의 수많은 상업·독립영화가 보여준 놀라운 가능성은 한국영화 101주년을 맞이한 2020년을 더욱 기대하게 만든다. 앞으로 한국영화가 걷는 길에는 수많은 ‘처음’의 수식어가 따라붙을 것이다. 처음이라 더욱 기쁘고 당황스러운 순간들을 함께 맞이하며, 한국영화의 힘찬 도약에 아낌없는 응원과 지지를 보내는 2020년이 되었으면 한다.

프로필 사진
구민정 기자

전북대학교에서 국제학을 전공하고 있는 구민정입니다.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배너

대전광역시, 제17회 공공디자인 공모전 시상식 개최
대전시가 19일 시청 2층 로비에서 ‘제17회 대전광역시 공공디자인 공모전’ 시상식을 개최했다. 올해 공모전은 ‘한 걸음에 만나는 대전 속 힐링디자인’을 주제로 진행됐다. 대학생과 일반인 206팀이 참여해 총 206점의 작품이 출품됐다. 이 중 창의성과 활용성, 완성도를 종합 평가한 결과 60개 작품이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대상(大賞)은 시설물 디자인 부문에서 청주대학교 임종건 씨가 출품한 ‘한밭수목원 자전거수리대 고치슈’가 선정됐다. 금상은 ▲서울대학교 김시찬·큐슈대학교 허태원 씨의 ‘마당 너머, 소제의 숨결’▲건국대학교 글로컬캠퍼스 류가현·이세린 씨의 ‘대전광역시 산책 어플리케이션 걷슈’가 차지했다. 심사는 건축·디자인·도시계획 등 관련 분야 전문가 8명이 참여했으며 작품의 창의성과 활용성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했다. 이장우 시장은 “이번 수상작들이 대전을 ‘디자인으로 힐링되는 도시’, ‘품격 있는 명품 도시’로 이끄는 밑거름이 될 것”이라며 “공모전이 참가자들에게는 창작의 성장 발판이 되고 시민들께는‘디자인이 주는 감동’을 전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전했다. 한편, 수상작은 19일부터 27일까지 9일간 대전시청 2층 로비에서 전시되며 대전광역시 공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