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5 (월)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기자단상] 줌 수업에 대한 불만 잇따라..

현재 대학가에서 줌 수업 대한 실효성 의문이 잇따르고 있다.

 

코로나 19로 인해 화상회의 플랫폼 ZOOM(이하 줌)의 사용이 증가했다. 줌은 비대면 실시간 강의를 제공해 언택트 시대에 적합한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했다. 2020년도 1학기엔 줌 수업이 크게 활성화되지 않았으나 코로나 사태가 장기화 되면서 대부분의 대학에서 줌을 사용하게 됐다. 또한 정부가 2020년 8월 30일부터 사회적 거리두기 2.5단계 조치를 취하며 각종 학원, 문화시설 등에서도 줌을 적극 활용하고 있다.

 

줌 수업에 대한 불만, 단점도 분명 존재

 

줌은 비디오 커뮤니케이션으로 meetings, 즉 먼 거리에 있는 사람들이 회의를 할 수 있게 제작된 플랫폼이다. 강의를 위해 만들어진 플랫폼이 아니다. 화면공유 기능이 있지만, 교수가 진행하고 있는 프레젠테이션, 동영상, 교제 등의 강의 자료를 십분 활용하기 힘들다. 심지어 화면공유 시 동영상 재생이 안 되고, 글자의 픽셀이 깨지는 등 강의의 질이 낮다는 불만이 나오고 있다. 익명을 밝힌 한 학생은 “교수님이 준비해온 동영상이 재생되지 않아 강의 진행이 힘들었다”고 말했다. 대학교 커뮤니티 어플 에브리타임에선 줌에 대한 불만 섞인 글이 계속해서 올라오고 있다.

 

화상수업 중 마이크를 실수로 마이크를 켜 수업에 방해가 되거나, 캠을 켜 놓은지 모르고 강의와 관계없는 일을 해 구설수에 오르는 등 다양한 문제도 발생했다. 특히 개인정보가 누출되거나 사생활이 공개되는 일도 있었다. 또한 노트북 발열 문제,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 출석관리, 줌 서버 불안 문제 등 강의를 방해하는 요소가 많다는 의견이다.

 

대면 수업이 제한되고 녹화강의와 맞지 않는 줌이 강제되는 강의의 경우 철저한 준비를 해야 한다. 학교에선 교수에게 줌이란 플랫폼을 충분히 이해시키고 지원해 강의 시 돌발 상황에서도 대처할 수 있게 해야 한다. 2020년 1학기에도 꾸준히 제기된 문제인 만큼 조속하게 해결하는 것이 중요하다.

프로필 사진
김형렬 기자

대학생의 시선으로 진실된 이야기를 전달하는 기자가 되겠습니다.







배너

대전광역시, 제17회 공공디자인 공모전 시상식 개최
대전시가 19일 시청 2층 로비에서 ‘제17회 대전광역시 공공디자인 공모전’ 시상식을 개최했다. 올해 공모전은 ‘한 걸음에 만나는 대전 속 힐링디자인’을 주제로 진행됐다. 대학생과 일반인 206팀이 참여해 총 206점의 작품이 출품됐다. 이 중 창의성과 활용성, 완성도를 종합 평가한 결과 60개 작품이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대상(大賞)은 시설물 디자인 부문에서 청주대학교 임종건 씨가 출품한 ‘한밭수목원 자전거수리대 고치슈’가 선정됐다. 금상은 ▲서울대학교 김시찬·큐슈대학교 허태원 씨의 ‘마당 너머, 소제의 숨결’▲건국대학교 글로컬캠퍼스 류가현·이세린 씨의 ‘대전광역시 산책 어플리케이션 걷슈’가 차지했다. 심사는 건축·디자인·도시계획 등 관련 분야 전문가 8명이 참여했으며 작품의 창의성과 활용성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했다. 이장우 시장은 “이번 수상작들이 대전을 ‘디자인으로 힐링되는 도시’, ‘품격 있는 명품 도시’로 이끄는 밑거름이 될 것”이라며 “공모전이 참가자들에게는 창작의 성장 발판이 되고 시민들께는‘디자인이 주는 감동’을 전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전했다. 한편, 수상작은 19일부터 27일까지 9일간 대전시청 2층 로비에서 전시되며 대전광역시 공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