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17 (금)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MBTI는 모든 것을 결정할까?

MBTI 성격 유형검사의 진실

 

사람의 성격을 간단한 검사를 통해 특정한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을까? 

 

최근 들어 MBTI 성격 유형검사가 사람들 사이에서 많은 입소문을 타면서 자신들의 성격 유형을 분류하곤 한다. MBTI란, 마이어스(Myers)와 브릭스(Briggs)가 융의 심리 유형론을 토대로 고안한 자기 보고식 성격 유형 검사의 한 종류이다. 보통 사람들은 인터넷 사이트를 통해 검사를 시행하는데 몇 가지 질문에 답을 하면 바로 유형이 나오기 때문에 시행이 쉽고 간편해서 학교나 직장 그리고 군대에서도 자주 사용되는 검사이다. 이 검사는 4가지 분류 기준에 따른 결과에 의해 총 16가지 심리유형 중 하나로 표현한다. 외향-내향 지표, 감각-직관 지표, 사고-감정 지표, 판단-인식 지표의 4가지 분류 기준이며 이 지표를 조합하여 16가지 중 하나로 분류하는 것이다.

 

이 MBTI 검사는 이전부터 시행해왔지만 최근 들어 더욱 떠오르고 있다. 사람들의 반응은 가히 폭발적이었다. 완전히 자신의 성격과 들어맞는 다는 사람들이 다수였다. 또한 MBTI 유형에 따른 여러가지 상황에 대한 반응, 연예인이나 공인들의 MBTI 유형 등이 SNS상에서 떠돌고 같은 유형 간 질문답하기 등을 통해 사람들의 신뢰감이 더욱 높아져가고 있다. 

 

이러한 MBTI 유형에 대한 유행에 대해서 전문가들의 의견은 조금 다르다. 사실 인터넷에 떠돌고 있는 검사는 진짜가 아니라 MBTI 코드를 도용한 것이다. 정확한 검사가 아닐 수도 있으며 법적인 위험성을 피하기 위해 코드만 도용한 것인 셈이다. 그리고 전문가에게 검사를 받지 않고 단순한 인터넷 검사로는 정확한 답을 얻을 수 없다. 그리고 사람들 중에서도 이러한 성격 유형이 자신과 맞지 않거나 혹은 다른 유형들과 겹친다는 반응들도 있다. 이유는 간단하다. 사람의 성격은 단순하게 정의 내릴 수 없기 때문이다.

 

사람의 성격은 시간에 따라 변할 수도 있고, 한가지 틀에만 국한 되어 있는 것도 아니다. 남녀 간 서로 궁합이 맞는 유형이 있다고 해서 꼭 원만한 연애관계를 지니는 것도 아닌 것이다. 다만 이러한 성격 유형검사를 통해 자신을 더 알아가고, 사람들 간 흥미로운 이야깃거리도 생긴다는 점에서 이 MBTI 검사에 '과몰입'하기 보단 하나의 즐기는 용도로 사용하면 좋을 것이다.

프로필 사진
권혜미 기자

안녕하세요! 전북대학교 중어중문학과에 재학중인 권혜미라고 합니다. 사실을 정확하면서도 재치있게 전달하는 기사를 만들어가겠습니다.







배너

한컴아카데미, 대학생 서포터즈 1기 발대식 개최
한컴아카데미가 지난 9월 26일 경기도 성남시 한컴타워에서 서포터즈 1기 발대식을 개최했다. 한컴아카데미는 한컴그룹의 교육 전문 계열사이다. 이번 서포터즈는 수도권 소재 대학생 24명으로 구성됐으며, 앞으로 3개월 간의 활동 기간 동안 한컴아카데미의 다양한 교육 서비스를 알리는 콘텐츠를 직접 기획하고 제작하게 된다. 이번 서포터즈 활동은 한컴아카데미가 보유한 두 가지 핵심 교육 사업의 가치를 융합하고 시너지를 창출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밝혔다. 한컴아카데미의 두 가지 핵심 교육 사업 중 첫 번째는 재직자 대상 인공지능(AI), 임베디드 등의 전문가 과정을 제공하는 오프라인 교육이다. 두 번재는 대학생과 취업준비생을 위해 폭넓은 IT 실무 역량을 제공하는 온라인 학습관리시스템(LMS) 서비스이다. LMS는 온라인에서 강의 수강부터 과제 제출, 학습 관리까지 모든 교육 활동이 이뤄지는 ‘온라인 강의실’과 같은 플랫폼이다. 서포터즈 1기는 주로 온라인 LMS 서비스를 직접 체험하며, 실제 사용자의 눈높이에서 강의 후기, 학습 팁, 관련 산업 트렌드 등 다양한 SNS 콘텐츠를 제작하는 역할을 맡는다. 이를 통해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와의 접점을 확대하고, 잠재적






배너